로컬라이저 둔덕이 사고의 주요 원인
로컬라이저 둔덕은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. 사고 후 조사에서 여러 전문가와 관계자들은 로컬라이저의 설치 방식과 위치가 사고 피해를 키운 결정적인 요소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
- 로컬라이저 설치 문제: 로컬라이저는 활주로 끝에서 251m 지점에 설치되어 있었으며, 이는 국제 규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입니다. 대부분의 국제공항에서는 이보다 더 멀리 설치되고 있습니다12. 또한, 로컬라이저가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항공기가 충돌할 경우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습니다23.
- 종단안전구역 위반 의혹: 사고가 발생한 활주로의 종단안전구역은 항공기가 착륙 후 멈추지 못했을 때 손상을 줄이기 위해 설정된 구역입니다. 그러나 로컬라이저가 이 구역 내에 적절히 설치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, 이는 관련 법규를 위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134. 국토교통부는 로컬라이저가 안전구역 밖에 적법하게 설치되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, 이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
- 사고 발생 과정: 사고 여객기는 착륙 도중 조류 충돌을 경험한 후 활주로를 넘어 로컬라이저 둔덕과 충돌하게 되었습니다. 이 과정에서 둔덕의 높이와 구조가 사고의 피해를 더욱 확대시켰다는 분석이 있습니다24. 전문가들은 만약 로컬라이저가 규정대로 부러지기 쉬운 구조였다면 사고의 결과가 달라졌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2.
댓글
댓글 쓰기